'GRAFFITI'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1.02.23 양화대교 배전함
  2. 2010.09.10 키스 해링 [Keith Haring, 1958.5.4 ~ 1990.2.16]
  3. 2010.09.10 GRAFFITI 어원

양화대교 배전함

Posted by 뚱비 GRAFFITI : 2011. 2. 23. 20:02


자전거를 타고 양화대교 남단을 지나다보면 배전함에서 볼 수 있는 그래피티

유화한 스타일의 가로로 길게 늘어트린 모습과 위의 왕관으로 위 아래의 밸런스를 맞춘 스타일인 듯 싶다 능숙하게 그린 모습으로 보아서는 자기만의 'mark' 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사람이 다른작업도 한 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GRAFFI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스 해링 [Keith Haring, 1958.5.4 ~ 1990.2.16]  (0) 2010.09.10
GRAFFITI 어원  (0) 2010.09.10
  

키스 해링 [Keith Haring, 1958.5.4 ~ 1990.2.16]

Posted by 뚱비 GRAFFITI : 2010. 9. 10. 03:26

오래전부터 그래피티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키스해링이라는 사람을 접하지는 못하였다. 지금의 그 유명한 팝아트의 슈퍼스타로만 간단히 알았던 나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다.

키스해링이 미국의 그래피티 아티스트 라는 것을.

키스해링의 전시회를 가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그를 그나마 알아 보려고 한다.


1958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레딩(Reading)에서 태어나 쿠츠타운(Kutztown)에서 성장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닥터 수스(Dr. Seuss)와 월트 디즈니(Walt Disney)의 만화영화를 즐겨 보며 그림 그리기에 흥미를 가졌다. 1976년 피츠버그의 아이비전문예술학교에 입학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이에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한 그는 1978년 뉴욕으로 옮겨 와 시각예술학교에서 공부하였다.

해링은 뉴욕 거리의 벽면과 지하철 플랫폼에 그려져 있는 낙서 스타일의 그림을 보고 깊은 영감을 얻었다. 다운타운의 활기찬 에너지와 신선한 기운 속에서 그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었다. 길거리, 지하철, 클럽 등지의 벽은 이제 그의 캔버스가 되어 지나가는 평범한 행인들에게 말을 걸었다. 즉, 그만의 예술언어로 도시와 대화를 나누기 시작한 것이다. 빈번히 공공기물 훼손혐의로 경찰에 체포되기도 하였지만 사람들은 해링의 독특한 이미지를 알아보기 시작했다.

픽토그램(Pictogram) 같은 간결한 선과 강렬한 원색, 재치와 유머가 넘치는 표현에서 단번에 그의 재능을 간파한 딜러 토니 샤프라치(Tony Shafrazi)는 자신의 갤러리에서 그의 개인전을 기획하였다. 해링은 이 전시를 계기로 스타 작가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하위문화로 낙인찍힌 낙서화의 형식을 빌려 새로운 회화 양식을 창조해낸 그의 그림은 뉴욕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게 되었다.

해링은 다른 낙서화가들과 다르게 인종차별 반대, 반핵 운동, 동성애자 인권운동, 에이즈 교육 등의 사회문제를 다루었다. 그의 작품은 거리와 지하철을 벗어나 티셔츠와 배지, 벽화, 공익광고와 포스터 등으로 제작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그의 이미지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표현하고 있으며, 그 안에는 탄생과 죽음, 사랑과 섹스, 전쟁과 평화 등의 우주관을 담고 있다.

1990년 2월 16일 해링은 뉴욕에서 만 서른 한 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에이즈로 인한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주요 작품에는 《무제 Untitled》(1982), 《앤디 마우스-뉴 코크 Andy Mouse-New coke》(1985), 《무지=공포 Ignorance=Fear》(1989) 등이 있다.






키스해링을 알아보다 보니, 워낙 많은 작품을 여기저기에서 남긴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주요 작품들이 무제인 경우들이 많이 있었다. 그 중 몇점의 (무제 Untitled) 작품이다.



키스해링 그가 남긴 것들은 많았다고 생각하기도 하고, 그래피티의 다양한 모습을 내게 안겨준 그 였다.
좀 내가 생각 하였던 그런 모습들의 그래피티는 아니었지만, 뉴욕의 지하철에 있는 낙서에 불과했던 그래피티를 예술로 승화시킨 새 문화를 일으킨 사람. 좋은 일을 한 사람인 것은 확실하다.

더 신기한 것은 내가 몰랐던, 자라ㆍ유니클로 T셔츠, 타미힐피거 운동화, 스와치 시계, LG 싸이언 휴대폰 등 유명 브랜드 제품에서 쉽게 만날 수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웠다.

키스해링전을 못가본게 너무나도 안타깝다. 아는분은 다녀왔는데... 그 분으로 부터 이야기를 나누면서 조금더 많은 지식을 얻어 가야겠다.

'GRAFFI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화대교 배전함  (0) 2011.02.23
GRAFFITI 어원  (0) 2010.09.10
  

GRAFFITI 어원

Posted by 뚱비 GRAFFITI : 2010. 9. 10. 02:59

는 간단한 스크래치 표현에서부터 정교한 벽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현대의 에어로졸 스프레이 등을 사용한 낙서를 그라피티(이탈리아어: graffitto - 복수형 graffitti)라고 부른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그라피티를 소유자 허락 없이 하는 것은 재산 손해로 처벌을 받거나 예술 문화의 파괴(반달리즘)으로 여겨졌다.

한편, 그라피티는 사회, 정치적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요긴하게 쓰이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화랑이나 갤러리에서 전시회가 있기도 하지만 대개 버스 정류장이나 기차역, 운동장, 건물에 그려져 있어 사람들의 인상을 찌푸리게 하기도 한다.

그라피티는 미술계에 있어 어떤 표면에 그림을 그려 새기는 것과 비슷하게 여겨진다. 이것과 비슷한 용어는 스그라피토(Sgraffito)가 있는데 색상을 이용해서 한 색상으로 표면을 덮으면서 감춰져 있는 면을 드러내게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원래 도공들이 자기를 만들 때 원래 색에 무늬를 새겨 넣는 방식과 흡사하다. 그라피티와 그라피토는 이탈리아어로 ‘긁힌’(scratched)이라는 뜻이다.

발췌 : 위키백과

'GRAFFI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화대교 배전함  (0) 2011.02.23
키스 해링 [Keith Haring, 1958.5.4 ~ 1990.2.16]  (0) 2010.09.10
  
 «이전 1  다음»